아이들의 스마트폰 사용 연령이 점차 낮아지면서 과거 사물을 본 뜬 아이콘을 스마트기기에서 먼저 접하는 경우가 늘었다. /정다운 디자이너
만 5세 아들을 키우고 있는 직장인 김지현(36)씨는 아이 질문에 당황했다. 아이가 스마트폰에 있는 ‘전화하기’ 버튼의 수화기 모양이 무슨 모양인지를 물어왔기 때문이다. 아이가 전화기를 실제로 본 적이 없어 수화기 모양의 생김새를 몰라 질문한 것이었다.
김씨는 "별 생각이 없었는데 아이가 수화기 모양에 대해 물어봐 조금 놀랐다"며 "스마트폰은 많이 만지게 해줬는데, 친정이나 시댁에도 전화기가 없어 직접 접해본 적이 없다는 생각이 불현듯 들었다"고 말했다. 그는 "인터넷에서 이미지를 찾아서 전화 버튼 모양에 대해 설명해줬다"고 덧붙였다.
아기일 때부터 스마트폰에 익숙한 세대가 등장하면서 애플리케이션(앱) 아이콘이나 컴퓨터 아이콘의 모양이 무엇을 본 뜬 것인지 모르는 아이가 점차 많아졌다. 2000년대 들어서는 전혀 쓰지 않는 ‘플로피디스크’를 많은 프로그램에서 ‘저장하기’ 아이콘으로 사용하는데, 왜 이런 모양을 하고 있는지 모른다는 어린이들과 청소년이 생겨난다는 ‘이야기’의 범위가 스마트폰으로 확장됐다.
애플의 아이폰 첫 모델 정식 출시를 기점으로 삼아 스마트폰이 본격적으로 등장한지는 11년이 됐다. 한국에서는 아이폰이 정식 유통된 시점이 2009년이었다. 국내 사용자들의 스마트폰에 대한 경험도 10년에 가까워졌다. 최근에는 유아부터 어린이까지도 스마트폰 영상을 틀어주거나 게임을 하면서 스마트폰과 태블릿PC에 대한 경험도 늘고있다. 실제로 한국의 19세이하 어린이와 청소년의 스마트폰 보급률은 90%를 넘어섰다.
덕분에 2010년대 생은 한글보다 스마트폰 사용법을 빨리 깨우치는 경우가 많다. 특히 부모가 아이가 소란을 피우지 않도록 어린이용 동영상을 틀어주거나, 부모나 형제가 스마트폰을 조작하는 걸 해보고 싶어하면서 유아와 어린이들이 금새 기기를 조작하기도 한다. 이런 속도 때문에 이모티콘 모양에 대한 ‘원본’을 알기 전에 스마트폰 속 이미지를 먼저 마주하게 된다.
실제로 육아정책연구소가 2008~2013년에 태어난 영·유아 1000명을 조사한 결과 만 2세 영아의 47.9%가 0~2세 시기에 스마트폰을 처음 사용한 것으로 조사됐다. 아이들의 절반 가까이가 이미 만 2세 이하일 때 스마트폰을 접하는 셈이다. 1세 이하 영아에서는 30.2%가 1세 이하 시기에 스마트폰을 접한 것으로 조사됐다.
최근 7세 아이에게 한글을 집에서 가르치던 주부 허혜리(34)씨도 김씨와 비슷한 경험이 있다. 한글 ‘카’를 가르치면서 카메라 그림이 나오자 아이가 "스마트폰에 있던 그림이 이거였구나"라고 말했기 때문이다. 카메라는 스마트폰으로 사진 찍는 것 밖에 접해본 적이 없어 이를 알기 전에 스마트폰 기능을 배웠다.
허씨는 "어른들한테는 익숙한 모양이 아이에게는 특별히 의미를 모르는 채로 받아들여졌다는 걸 알게됐다"며 "실제로 아이들은 카메라보다는 스마트폰을 더 빨리 접했다는 것을 생각하면 우리와는 다르겠다는 생각도 했다"고 말했다.
비슷한 사례는 또 있다. 김영재(39)씨는 지난 5월 어버이날을 기념해 유치원에서 카네이션과 편지를 써온 딸 아이가 "메일모양이 편지 봉투 모양인 줄 몰랐다"고 말해 놀랐다. 김씨는 "아이들이 직접 경험하고 배우는 것보다 스마트폰으로 이미지를 먼저 소비한다는 걸 그때 알게됐다"고 말했다.
어른들이 우스운 농담으로 "요즘 애들은 플로피디스크가 왜 저장 버튼인지를 모른다"며 농담처럼 이야기하는 것도 오히려 옛이야기다. 실제로 정보기술(IT) 업계 관계자들은 사용자 인터페이스(UI)와 사용자경험(UX)이 급격하게 변하면서 더 큰 변화가 생겨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최근에는 사진 관련 앱 아이콘은 카메라가 아닌 렌즈 모양으로 변화하고 있다. 또 메일과 비슷하게 편지지 모양이었던 메시지 기능은 대부분 ‘말주머니’ 모양으로 그 모양을 달리했다. 사용자 경험이 변하면서 UI 디자인도 시대를 반영해 변화가 빠르게 일어날 전망이다.
한 IT 업계 관계자는 "이제는 터치 스크린을 넘어 음성 인터페이스로 넘어가는 시기이기 때문에 아이들이 기계를 보면 우선 말을 거는 모습을 목격하게 될 것"이라며 "인공지능(AI) 등 신기술이 생활에 들어올수록 지금 사용하는 많은 이미지나 기능들이 완전히 다른 방식으로 소모될 것"이라고 말했다.
민하영 대구가톨릭대 아동학과 교수는 "스마트폰을 통해 아직 배우지 못한 사물을 인지하는 것은 오히려 아동 발달에 도움이 될 수 있다"며 "다만 아이들이 스마트폰과 같은 기기를 접하는 연령이 점차 낮아지고 있으므로 과잉 의존하지 않도록 스마트 기기 시대에 맞는 교육 방식을 고민하고 부모가 잘 이끌어 줄 수 있도록 해야한다"고 말했다.
삼성 스마트폰인 갤럭시 S8부터 덱스를 지원했습니다. 삼성 덱스는 HDMI 케이블만 꽂으면 마치 PC 처럼 쓸 수 있는 기능입니다. 대부분의 가정에서 이제는 앱 방식으로 사용을 하고 특별한 목적이 없으면 설치형 제품을 안써도 별로 불편함이 없습니다. 또한, 대부분 클라우드에서 작성하기 때문에 예전처럼 높은 CPU 성능이 필요없죠. 게임을 안한다면 말이죠.
노트 9와 HDMI 케이블 그리고 블루투스 키보드만 있으면 멋진 PC 로 변신할 수 있습니다. 물론 하루종일 일하는 데에는 크롬북이나 일반 노트북이 좋지만, 가지고 다니는 무게나 간단하게 작업을 한다면 덱스를 사용해도 별 어려움이 없을 거 같습니다.
Google의 지메일과 드라이브 기능의 매력에 빠져서 몇년 사용하면 무료로 제공하는 15G를 모두 사용하게 됩니다. 용량이 차면 메일 수신도 되지 않고 새로운 파일을 업로드할 수 없습니다. 난감하죠. 그래서 개인적으로 비용을 내고 추가적인 용량을 사용합니다.
▶ Google Blog에 소개된 Google One
기존에는 100GB가 월 1.99달러, 1TB가 월 9.99달러입니다. 이 요금제가 '구글 원(Google One)’이란 통합 브랜드로 변경되면서 다른 사람과 스토리지 공유로 나눠 줄 수 있는 기능도 추가가 되었습니다. 또한, 200GB라는 새로운 요금제도 제공합니다. 사용자의 용량이 또 늘었다는 증거겠지요. 참고로 Google의 모든 정책은 데이타에 기반해서 분석하에 만들어집니다. 이미 100GB를 넘어서는 사용자가 많아졌다는 것을 의미하겠죠.
정리하면
모든 사용자에게 15GB 무료 이후
100GB, 월 1.99달러
200GB, 월 2.99달러
2TB, 월 9.99달러
요금제 정책은 점진적으로 정용되며, 스토리지가 남는다면 최대 5명까지 용량을 공유할 수 있습니다. 다른 사람보다는 자신의 다른 계정에서 사용하는 형태나 회사에서 내부적으로 사용하는 형태가 되겠습니다.
기존 Google 사이트의 섹션 편집이 약간은 번잡스러웠습니다. 글 또는 그림만 넣는 경우에는 그리 어렵지 않았지만, 가식성을 높히기 위해서 글과 그림을 같이 넣을 때는 디자인에 민감하지 않은 사람은 이상한 형태의 모습이 나오고 다시 절망하고 하는 반복의 연속이었죠. 간편하게 섹션을 디자인할 수 있는 기능에 대한 업데이트입니다.
여섯 개의 미리 만들어진 섹션 레이아웃 중에서 선택해서 섹션을 만들 수 있습니다.. 사이트 도구의 오른쪽 삽입 메뉴에서 간편하게 선택하거나 드래그하면 자동으로 레이아웃이 만들어 집니다. 새 섹션이 사이트에 추가되고 레이아웃과 일치하는 자리 표시 자 콘텐츠를 입력할 수 있습니다.
기존에 자리 배치(레이아웃) 하는게 약간은 번거로운 일이었습니다. 또한, 여러개의 사진을 넣거나 전문적인 디자인처럼 보이게 배치하는 것은 손도 많이 가고 시간도 많이 투자를 했어야 했는데 이번 업데이트로 아주 쉽게 작성할 수 있습니다.
이정도 기능이면 이제는 관리하기 어렵고 업데이트가 복잡한 구축형 인트라넷이나 홈페이지보다는 Google 사이트로 만들어도 나쁘지 않을 거 같은 생각입니다. 홈페이지나 인트라넷, 내부 포탈의 목적은 정보를 빠르고 편리하게 전달하는 것입니다. 스마트폰용으로 만들지 않아도 기본으로 제공이 되고, 편집도 쉽고, G Suite의 다양한 리소스(문서, 지도, 자료, 그래프, 등등)를 이용한다면 IT 부서에 가서 만들어 달라고 할 필요없이 직접 변경하고 만들 수 있습니다.
보는 사람 입장에서도 어차피 스마트폰으로 보면 디자인이 이쁘고 UX 디자인이 적용되었건 자신이 보기 편하면 되고 필요한 정보만 거기에 있으면 되겠죠. 이제는 고민해야 할 때인거 같습니다.
이 기능을 이용하면 홈페이지, 포탈, 캠페인 페이지, 내부 인트라넷 정도는 간편하게 만들 수 있을 거 같습니다. 물론 외부에 공개되는 페이지는 기업이나 학교의 이미지가 있으니 디자인이 아직은 부족하지만 내부적으로 사용하거나 특별한 목적으로 빠르게 만들고 배포해야 하는 경우라면 달라지겠죠.
Google 드라이브의 Business와 Education 버전은 용량이 무제한입니다. 만약에 회사에서 이런 비슷한 문서관리시스템을 만든다면 상상할 수 없을 정도의 고가의 스토리지를 구입해야 하고 구입이후에도 유지관리에 고민이 많을 것입니다. 하지만 Google에서는 IT 부서에서 아껴쓰라는 잔소리도 없고 원하는 만큼 사용할 수 있습니다.
구글 문서의 경우에는 버전관리가 자동으로 관리가 됩니다. MS Office 문서의 경우에는 같은 이름의 문서를 등록하면 관리가 됩니다.
[그림] 같은 이름의 문서 등록시 버전관리
물론 계속 보관되는 것은 아니고 30일간만 보관됩니다. 계속 보관해야 한다면 이름을 변경해서 보관하면 됩니다.
회사나 학교에서 같은 문서를 등록하면 버전이 달라질 뿐 사용자는 동일한 주소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문서 URL을 보내고 다시 문서를 등록하더라도 문서의 주소가 변경되지 않습니다. 즉, 메일도 다시 보낼 필요가 없다는 의미입니다.